-
목차
반응형1. 적하보험이 보장하는 손해 유형
(1) 전손(Total Loss)
전손은 화물이 완전히 파괴되거나 전량 손실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전손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실제 전손(Actual Total Loss): 선박 침몰, 항공기 추락, 차량 전복 등의 이유로 화물이 완전히 파괴되어 원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 예: 선박 침몰로 인해 화물이 유실됨
- 예: 항공기 사고로 인해 화물이 전소됨
- 추정 전손(Constructive Total Loss): 화물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수리 또는 회수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수리 비용이 화물의 원래 가치보다 더 많이 소요되는 경우.
- 예: 화물이 해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심각하게 부패한 경우
- 예: 복구 비용이 화물의 원래 가치보다 높은 경우
(2) 분손(Partial Loss)
분손은 화물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분실된 경우를 의미한다. 적하보험은 다음과 같은 분손 유형을 보장할 수 있다.
- 충돌 및 충격 손상: 운송 중 차량 충돌, 선박 간 충돌 등으로 인해 화물이 일부 손상될 경우.
- 침수 및 습기 피해: 해상 운송 중 파도나 선박 침수로 인해 화물이 젖거나 부패하는 경우.
- 파손 및 변질: 운송 중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해 화물이 파손되거나 변질되는 경우.
*전손과 분손의 차이점
구분 전손 (Total Loss) 분손 (Partial Loss) 손실 범위 전체 화물 손실 일부 화물 손실 보상 기준 보험금 전액 지급 손상된 부분에 대해 부분 보상 주요 원인 침몰, 화재, 도난 등 충격, 침수, 파손 등 보상 방식 보험금 청구 후 전액 지급 손상 정도에 따라 부분 지급 *전손 보상 기준
전손 발생 시 보험사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보험금을 지급한다.
- 실제 전손: 화물이 완전히 손실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전액 보상
- 추정 전손: 복구 비용이 화물 가치보다 높은 경우, 전액 보상 가능
- 보험 계약 내용에 따른 보장 범위 적용
*분손 보상 기준
분손 발생 시 손상된 부분에 대해서만 보상이 이루어진다. 주요 보상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손상 정도에 따라 보험금 책정
- 화물의 감가상각 및 수리 비용 고려
- 보험 가입 시 명시된 보장 조건 적용
(3) 도난 및 분실(Theft & Pilferage)
화물이 운송 중 도난당하거나 일부가 분실될 경우 적하보험에서 보상이 가능하다.
- 전체 도난: 운송 중 화물 전체가 도난당한 경우.
- 부분 도난: 화물의 일부가 절도 또는 도난으로 인해 손실된 경우.
- 운송 중 분실: 항공 또는 해상 운송 중 컨테이너 개봉이나 적재 오류로 인해 화물이 사라진 경우.
(4) 화재 및 폭발(Fire & Explosion)
화재 또는 폭발로 인한 화물 손실은 적하보험에서 중요한 보장 항목 중 하나이다.
- 선박 및 항공기 화재: 선박 엔진 화재, 항공기 내 화재로 인해 화물이 소실되는 경우.
- 운송 차량 화재: 트럭, 기차 등 운송 수단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화물이 소실되는 경우.
- 위험물 폭발: 화물에 포함된 위험물(가연성 물질, 화학약품 등)로 인해 폭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5) 자연재해(Natural Disasters)
자연재해로 인한 화물 손실도 적하보험의 보장 범위에 포함된다.
- 태풍 및 허리케인: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해 화물이 손실되는 경우.
- 지진 및 해일: 해상 운송 중 지진으로 발생한 해일(쓰나미)로 인해 화물이 침수되거나 유실되는 경우.
- 홍수 및 산사태: 도로 운송 중 폭우로 인한 홍수나 산사태로 인해 화물이 유실되는 경우.
2. 특약을 통한 추가 보장 손해 유형
(1) 전쟁 및 테러 위험 보장(War & Terrorism Risks)
일반 적하보험에서는 전쟁 및 테러로 인한 피해를 기본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추가 특약을 통해 다음과 같은 손해를 보장받을 수 있다.
- 전쟁 및 내란으로 인한 화물 손실
- 테러 공격으로 인한 화물 파손
- 국가 간 무역 제재로 인한 화물 압류
(2) 파업 및 폭동(Strikes & Riots)
노동쟁의, 폭동, 사회 불안 등으로 인해 화물이 손실될 경우, 파업 위험 보장 특약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노동자 파업으로 인한 화물 지연 및 손실
- 폭동 및 소요 사태로 인한 화물 파손
(3) 창고 간 보장(Warehouse to Warehouse Coverage)
화물이 출발지 창고에서 최종 목적지 창고까지 이동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손해를 보장하는 특약이다. 이를 통해 운송 과정뿐만 아니라 화물의 하역 및 보관 중 발생하는 손실까지 보상받을 수 있다.
3. 적하보험의 손해 보장 활용
적하보험은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전손, 분손, 도난, 화재, 자연재해 등 기본적인 보장 외에도, 특약을 통해 전쟁, 테러, 파업과 같은 추가적인 위험까지 대비할 수 있다. 수출입 업체 및 물류업체는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철저히 분석하고, 적절한 보장 범위를 선택하여 재정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하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하보험에서 보장하는 특수 화물 (냉동·위험물 등) (0) 2025.03.14 적하보험의 면책 사항 – 보상받지 못하는 경우 (0) 2025.03.13 적하보험의 주요 용어 정리 (0) 2025.03.10 적하보험과 일반 화물보험의 차이 (0) 2025.03.10 적하보험이란? – 개념과 필요성 (0) 2025.03.10 - 실제 전손(Actual Total Loss): 선박 침몰, 항공기 추락, 차량 전복 등의 이유로 화물이 완전히 파괴되어 원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